Client - Server Model
<PULL mode> : Server는 passive 하게 응답만 하고 Client..
※ 종이에 필기한 내용 추가 필요
PULL mode : 클라이언트가 active하게 request하면 서버가 passive하게 response.
PUSH mode : 클라이언트의 profile을 통해 서버에서 superset을 broadcasting
클라이언트 Agent : Data prefetching, caching
서버 Agent : 클라이언트가 똑같은 정보를 요청하면 cache를 통해 정보를 제공. 예) 프록시 서버
클라이언트가 나머지 정보를 흘려보냄.
위치 기반 서비스
이동은 적어도 두 개의 지점을 요구한다.
GIS : 지도(지리)정보 시스템
GPS : 위도-경도 정보 시스템
※ 작동원리 : 세 개의 중계기에서 수신받는 시간을 구해(원의 방정식) 만나는 지점이 나의 위치이다.
LBS : 위치 기반 서비스, 예: 가장 가까운 주유소?
LCS : 위치 서비스, 예: 친구 찾기, 누군가의 지점을 찾음
LBS에서 개인정보 보호 문제
예시)
법적으로 소방서에서는 산에서 실종 신고 사건 이후 개인정보 열람 요청을 바로 할 수 있음.
경찰서는 영장이 있어야 개인정보 열람 요청이 가능함.
일본에서는 통계자료 활용 목적으로 위치 정보를 사고 팔 수 있다고 함.
등등...
'컴퓨터 공부 > Mobile Data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5일 2교시] P2P 시스템의 형태 (0) | 2009.06.15 |
---|---|
[6월 15일 1교시] P2P 시스템 (0) | 2009.06.15 |
[6월 13일] P2P의 경향과 통계 (0) | 2009.06.13 |
[6월 12일 2교시] Mobile Computing Issue (0) | 2009.06.12 |
[6월 12일 1교시] Mobile Computing Paradigm (0) | 200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