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클라우드 컴퓨팅
웹기술 + P2P(30%정도)
※ P2P의 패킷의 반 정도는 BitTorrent를 많이 사용한다.
P2P : Peer to Peer Plus Pay to Play
종량제 : 인터넷을 통제. 인터넷 게임은 하기 힘듬.
구글토크, 메신저를 제외하고는 P2P를 채택하고 있지 않음.
nhn도 P2P를 채택하고 있지 않다.
DRM
불법으로 퍼지는 속도를 낮추기 위한 기술. (의식 각성)
P2P 네트워크에서 첫번째 규칙
모든 다운로드는 똑같이 반대쪽에서 업로드 하는 사람들이 있다.
- 이에는 이, 눈에는 눈
- Contribution (더 많이 업로드 하는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
- 병렬전송
P2P 발생 이유
다운로드는 크고 업로드는 작은 비대칭성 때문(10배 차이).
업로드 자원이 귀하다.
P2P가 많아지면 ISP업체의 트래픽 부담이 심해지고
P2P에 대한 비용은 데이터 크기에 비례하지 않는다.
'컴퓨터 공부 > Mobile Data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15일 2교시] P2P 시스템의 형태 (0) | 2009.06.15 |
---|---|
[6월 15일 1교시] P2P 시스템 (0) | 2009.06.15 |
[6월 12일 3교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Client - Server Model 추가) (0) | 2009.06.12 |
[6월 12일 2교시] Mobile Computing Issue (0) | 2009.06.12 |
[6월 12일 1교시] Mobile Computing Paradigm (0) | 2009.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