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 -> Network Utilies (ipconfig, ping, route) -> Add to OS 디자인 -> sysgen(Build OS)
OS - HW Driver(OAL), OEM 제조사에서 작성해야 한다. (platform 폴더에 있음.)
- Application, Kernel, user 모듈, gdi모듈. (public 폴더에 있음)
sysgen 메뉴수행과정
1. sysgen : 응용 프로그램, 커널, user와 gdi모듈을 가져 온다.
2. Build : BSP(1번만 빌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들을 빌드한다.
======> 오래 걸린다.
3. Build Release : 특정 폴더에 빌드한 내용을 모아 놓는다.
4. Make an Image file : 하나의 파일로 압축(nk.bin)한다.
Simulator : 여러가지 Parameter들을 바꿔 가면서 가상으로 동작해 본다.
Emulator : 특정 하나의 제품에 대해서 똑같은 동작을 하도록 흉내 낸다.
PbWorkspace -> MyOS
RelDir : Release 디렉터리
- Debug, Release폴더가 존재한다.
- 왼쪽 상단을 보면 x86_Release, x86_Debug 선택 가능하다.
개발 컴퓨터와 연결설정 ( 타겟보드를 디버깅하기 위해 필요)
Target Device Connectivity Options
'Add Device'에 새로운 연결이름을 설정
'Kernel Service Map'에서 다운로드와 전송(Transport)을 Emulator로 설정한다.
Setting에서 해상도를 바꿀 수 있다.
Apply 버튼을 클릭
호스트 컴퓨터에서 이미지 파일을 타겟 보드에 전송한다.
Attach Device를 하면 에뮬레이터가 실행된다.
Target -> Run Program : 타겟 보드가 액정이 보이지 않을 경우 원격으로 접속해 실행해 볼 수 있다.
아니면 개발창에 왼쪽에서 s cmd하고 입력해야 타겟보드에 접속할 수 있다.
'컴퓨터 공부 > Windows 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3일 3교시] Third Party 개발을 위한 OS 준비 (0) | 2009.06.23 |
---|---|
[6월 23일 2교시] OS 빌드 단계 (0) | 2009.06.23 |
[6월 22일 3교시] Windows CE Architecture (0) | 2009.06.22 |
[6월 22일 2교시] 소개 (0) | 2009.06.22 |
[6월 22일 1교시] 소개 (0) | 2009.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