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계층에서 패킷 단위로 보낸 데이터는 packet loss가 발생한다.
1. 전송오류(noise, checksum등의 이상)
2. 라우팅 루프
패킷에는 TTL이라는 값이 있어 1홉을 지날 때마다 1이 감소하며 0이 되면 그 패킷은 사라진다.
3. 라우터의 패킷 큐가 꽉 찼을 때 마지막에 들어온 패킷을 버린다. (tail-drop, 트래픽 감당이 안됨.)
=> congestion, 시간이 길다.
※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자료가 잘 보내졌는 지 보장하지 않는다.
IP는 Best effort(보내는 데 최선을 다했다.)
'컴퓨터 공부 >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 30일 3교시] OSI 7 계층(소켓 프로그래밍) (0) | 2009.05.30 |
---|---|
[5월 30일 1,2교시] OSI 7 계층(전송 계층 2) (0) | 2009.05.30 |
[5월 29일 2교시] OSI 7 계층(네트워크 계층 3) (0) | 2009.05.29 |
[5월 29일 1교시] OSI 7 계층(네트워크 계층 2) (0) | 2009.05.29 |
[5월 28일 3교시] OSI 7 계층(네트워크 계층) (0) | 2009.05.28 |